[삶의 뜨락에서] 안톤 체호프의 소설, 대초원 - II
소설에는 다양한 종류의 사람이 나온다. 거기에는 영웅도 악당도 없다. 자기중심적인 삼촌, 착하고 어리석은 신부, 아이들을 끔찍이 아끼는 유대계 엄마, 아름다운 백작 부인, 부랑자, 마부 등이 조금도 미화되거나 덧붙여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 마치 타페스트리에 수를 놓듯 자신만의 자리에서 당당하게 존재하고 있다. 별 볼 일 없는 보통사람들의 세상을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 사람들의 일상을 주로 그린 체호프의 글은 당대의 대문호 톨스토이나 도스토옙스키처럼 종교나 죽음, 인간 존재에 대한 심오한 철학을 다루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음 깊이 와 닿는 그 무엇이 있다. 19세기 러시아 문학이 낳은 극작가이자 단편소설의 거장인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그가 처음으로 글을 쓰게 된 동기는 예술적인 것과는 거리가 먼, 가족의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였다. 중편소설 ‘대초원’을 발표하면서 문단의 기대를 모으는 신인 작가가 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푸시킨문학상을 받는다. 작가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체호프, 그의 소설은 주인공도 어리둥절한 상태에서 이야기가 끝난다. 체호프의 어휘는 간결하고 제한적이다. 초기의 단편인 ‘관리의 죽음’에서 갑자기 죽어버리는 주인공, 죽음을 앞두고 무엇인가를 새롭게 깨닫는 ‘주교’ 등에서 보면 분명한 해답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문으로 이야기가 끝난다. 마치 우리네 삶처럼 말이다. 후세에 자유로운 예술가로 기억되기를 희망했던 그는 “내가 두려워하는 사람은 나를 자유주의자니 보수주의자니 무신론자니 하면서 확고하게 어떤 틀 속에 가두어 넣고 규정지으려는 사람들이다. 나는 단지 자유로운 예술가이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고향인 아조프 해에 면한 항구도시 타간로그에 잠시 돌아가 순수하고 자유로웠던 유년을 그리며 썼다고 전해지는 소설 ‘대초원’은 작가 자신의 자서전적인 소설이기도 하다. 자연을 향한 신비와 감사는 반복되는 주제로서 이 소설의 진짜 주인공은 ‘대초원’인 것이다. 밝은 노란색 카펫처럼 끝없이 펼쳐진 밀밭, 먼 거리에서 작은 남자가 팔을 흔들고 있는 것처럼 보이며 돌아가는 풍차, 수평선과 맞닿아 있는 진홍색 빛 하늘이 바로 내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기만 하다. 연민과 우수가 가득 찬, 지극히 인간적인 그의 글을 읽으며 많은 위로를 받았다. 이춘희 / 시인삶의 뜨락에서 체호프 대초원 소설 대초원 안톤 체호프 극작가이자 단편소설